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460/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10,770 1504년 3월 7일
1504년 2월 21일
계축 햇무리가 있었다. 상참(常參)을 받고 경연에 납시었다. [조선실록 [원전] 13집 592면]
10,769 1504년 3월 15일
1504년 2월 29일
신유 햇무리가 있었다. [조선실록 [원전] 13집 592면]
10,768 1504년 1월 1일
1503년 12월 14일
정미 햇무리가 있었다. [조선실록 [원전] 13집 587면]
10,767 1504년 1월 2일
1503년 12월 15일
무신 밤에 유성(流星)이 대미원(大薇垣) 근처에서 나와 헌원성(軒轅星)으로 들어갔다. [조선실록 [원전] 13집 587면]
10,766 1504년 1월 3일
1503년 12월 16일
기유 햇무리가 있었는데, 고리가 둘이었다. [조선실록 [원전] 13집 587면]
10,765 1504년 11월 12일
1504년 10월 6일
계해 10월 계해(6)에 크기가 바리때만 한 유성(流星)이 하늘 한 가운데로부터 자미(紫微)의 동쪽 울타리에 이르러 멈추었는데, 꼬리의 길이가 1장(丈) 남짓하였고 소리가 났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7, 77면]
10,764 1504년 11월 12일
1504년 10월 6일
계해 밤 4경에 어서를 내리기를, “지금 있는 소리가 신기전(神機箭) 소리 같은데, 북쪽에서 남쪽으로 갔으니, 이는 무엇이 그렇게 하는 것인가? 유성(流星)이 아닌지? 급히 내외 관상감을 불러 자세히 물어 아뢰라.” 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3집 665면]
10,763 1504년 11월 12일
1504년 10월 6일
계해 내관상감원(內觀象監員) 김만달(金萬達)이 아뢰기를, “4경 3점에 바리만한 큰 유성이 하늘 중앙에서 나타나 자미 동원(紫薇東垣)까지 가서 그쳤는데, 꼬리의 길이가 한 길 남짓하였으며, 소리가 났었습니다.” 하고, 외관상감원 이숙손(李淑孫)은 아뢰기를, “4경 3점에 유성이 하늘 중앙에서 나왔는데 작은 병만하며, 길이는 3, 4척이나 되었습니다.” 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3집 665면]
10,762 1504년 11월 12일
1504년 10월 6일
계해 10월 계해일(6)에 바리때[鉢] 같이 큰 유성(流星)이 하늘 가운데로부터 나와 자미성(紫微星) 동원(東垣)까지 와서 멎었는데, 꼬리의 길이가 한 발 남짓 하였며 소리가 났다. [연려실기술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94면]
10,761 1504년 11월 13일
1504년 10월 7일
갑자 전교하기를, “관상감으로 하여금 천도(天圖)의 여러 별 가운데, 유성이 가다 그친 데를 표하여 들이도록 하라. 심원(深源)의 집에도 또한 천도가 있었으니, 재상이나 조사의 집에 어찌 천도가 없겠는가. 불초한 무리들이 천도를 사사로 간직하였다가 천체의 변이(變異)를 지적하여 논하니, 모두 거두워 들이도록 하라. 만약 들이지 아니하였가 뒤로 탄로난 자가 있으면 처벌하겠으니, 절목을 의논하여 아뢰라.” 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3집 665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