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부터 12월까지 24절기와 절기가 드는 날짜와 시간을 기록하고 있으며, 끝부분에 “경인(庚寅)년(1830)은 4월달에 윤달이 있어 1년의 길이가 384일”로 이루어져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각 절기의 날짜를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절기명 |
立春 |
雨水 |
驚蟄 |
春分 |
淸明 |
穀雨 |
立夏 |
小滿 |
芒種 |
夏至 |
小暑 |
大暑 |
일시 |
1.11 |
1.26 |
2.12 |
2.27 |
3.13 |
3.28 |
4.14 |
4.29 |
윤4.16 |
5.3 |
5.19 |
6.4 |
절기명 |
立秋 |
處暑 |
白露 |
秋分 |
寒露 |
霜降 |
立冬 |
小雪 |
大雪 |
冬至 |
小寒 |
大寒 |
일시 |
6.20 |
7.7 |
7.22 |
8.7 |
8.23 |
9.8 |
9.23 |
10.9 |
10.23 |
11.8 |
11.23 |
12.8 |
그림1) 1830년 24절기부분
㉮ 권두서명 대청도광십년세차경인시헌서(大淸道光十年歲次庚寅時憲書) 大淸이라는 중국의 국호를 쓴 것은 병자호란이후이다. 시헌력을 쓰는 역서(1654년 효종5년 이후)
㉯ 월의 명칭과 월의 대소(대: 30일, 소: 29일)
㉰ 24절기의 날짜와 시간
㉱ 24절기명
㉲ 1830년의 전체 날수 384일[凡三百八十四日]
연신(年神)이란 지정된 방위에 1년 동안 머물며 그 해의 길흉(吉凶)을 관장하던 신(神)이다. 연신방위지도에 의하면 동남서북에 따라 한 바퀴를 24방위로 구분하고, 그 방위에 12개의 지지(地支;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와 8개의 천간(天干;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 임(壬), 계(癸))과 4개의 괘(卦; 손(巽), 곤(坤), 건(乾), 간(艮))를 한 개씩 배당하여 24방위에 각각 신을 1년간 머물게 하였다. 태세(太歲)는 인군(人君)의 상으로 제신을 거느리는 신으로 역서의 세차(연간지)인 경인(庚寅)의 지명(支名)인 인(寅)의 방위에 자리잡고 있다.
그림2) 1830년 연신방위지도
㉮ 첫째줄은 여러 연신(年神)을 거느리는 태세(太歲)가 인(寅)의 방위에, 세덕(歲德)은 경(庚)의 방위에, 세덕합(歲德合)은 을(乙)의 방위에 위치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 연신방위지도(年神方位之圖)제목, 2페이지에 걸쳐서 연신방위지도(年神方位之圖)가 그려져 있다.
㉰ 연신방위지도 정중앙에는 구성도(九星圖)가 그려져 있다. 구성도는 1년 간의 길흉을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도가 연에 배당된 것을 연백(年白)이라고 한다. 구성도는 해마다 궁(宮)을 점유하는 성(星)을 변화시킴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간의 길흉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九星圖는 一百, 二黑, 三碧, 四綠, 五黃, 六白, 七赤, 八白, 九紫로 9년 주기로 순환한다.
㉱ 동남서북에 따라 한 바퀴를 24방위로 구분
㉲ "오른쪽은 각각의 신이 자리잡고 있는 것인데, 오직 박사(博士)와 주서(奏書)는 마주 향하여도 되나, 나머지는 각기 꺼리는 바가 있다. 만약 파괴된 것이 있으면 천덕(天德), 세덕(歲德), 월덕(月德), 천덕합(天德合), 세덕합(歲德合), 월덕합(月德合), 천은(天恩), 천사(天赦), 모창(母倉)이 진(辰)의 방위에 모일 때 수리한다. 혹은 각 신이 놀러나갔을 때에 수리하여도 무방하다.(右各神所臨之地惟秦書博士宜向之餘各有所忌 若有破壞 須修營者以天德歲德月德天德合歲德合月德合天恩天赦母倉所會之辰惑各神出遊日倂工修營無妨)"라고 적혀 있다.
※연신방위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연신을 방위별로 표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원문텍스트>
太歲在庚寅幹金枝木納音屬木歲德在庚合在乙乙庚上宜修造取土一日得辛二龍治水
年神方位之圖
赤碧黃
白白白
黑綠紫
子:大將軍 殺 吊客 太陰
癸:大禍
丑:歲殺病符
艮:奏書
寅:太歲五鬼
甲:空
卯:空
乙:空
辰: 門豹尾 金神
巽:力士
巳:歲刑金神
丙:空
午:大殺官符 畜官
丁:空
未:死符小耗
坤:博士
申:歲破大耗
庚:空
酉:破敗五鬼
辛:空
戌:蠶官白虎 飛廉 黃幡
乾:蠶室
亥:劫殺蠶命
壬:伏兵
右各神所臨之地惟奏書博士宜向之餘各有所忌若有破壞須修營者以天德歲德
月德天德合歲德合月德合天恩天赦母倉所會之辰或各神出遊日倂工修營無妨
<원문번역>
인(寅)의 방위에 태세(太歲) 오귀(五鬼), 갑(甲)의 방위에 공(空, 해당 연신 없음), 묘(卯)의 방위에 공(空, 해당 연신 없음), 을(乙)의 방위에 공(空, 해당 연신 없음), 진(辰)의 방위에 상문(喪門) 표미(豹尾) 금신(金神), 손(巽)의 방위에 역사(力士), 사(巳)의 방위에 세형(歲刑) 금신(金神), 병(丙)의 방위에 공(空, 해당 연신 없음), 오(午의) 방위에 대살(大殺) 관부(官符) 축관(畜官), 정(丁)의 방위에 공(空, 해당 연신 없음), 미(未)의 방위에 사부(死符)·소모(小耗), 곤(坤)의 방위에 박사(博士), 신(申)의 방위에 세파(歲破)·대모(大耗), 경(庚)의 방위에 공(空, 해당 연신 없음), 유(酉)의 방위에 파패오귀(破敗五鬼), 신(辛)의 방위에 공(空, 해당 연신 없음), 술(戌)의 방위에 잠관(蠶官)·백호(白虎)·비렴(飛廉)·황번(黃幡), 건(乾)의 방위에 잠실(蠶室), 해(亥)의 방위에 겁살(劫殺)·잠명(蠶命), 임(壬)의 방위에 복병(伏兵), 자(子)의 방위에 대장군(大將軍)·재살( 殺)·조객(吊客)·태음(太陰), 계(癸)의 방위에 대화(大禍), 축(丑)의 방위에 세살(歲殺)·병부(病符), 간(艮)의 방위에 주서(奏書)등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신방위지도 다음 면부터는 1월부터 12월까지의 월력(月曆)을 담고 있는데, 그 내용 구성을 보면
그림3) 1830년 정월(正月)
㉮ 부분은 월명, 월의 크고(大, 30일) 작음(小, 29일), 월 간지(干支)를 나타내고 있다. 즉 “正月小 建戊寅”은 정월달이 작은 달로 29일로 되어있으며 월의 간지인 월건(月建)이 무인(戊寅)이라는 뜻이다. 월건은 60갑자에 의해 60개월 주기로 순환한다.
㉯ 부분은 월절(月節)의 명칭과 월절이 드는 날짜와 시간, 천도(天道)가 운행하는 방향, 길흉을 관장하는 신(神)인 천덕(天德), 월염(月厭), 월살(月殺), 월덕(月德), 월합(月合), 월공(月空)이 자리하고 있는 방위를 나타내고, 그 방위에서 수리하거나 만드는 것[修造]이 좋다고 설명하고 있다.(十一日辛丑未正二刻立春正月節天道南行宜向南行宜修造南方 天德在丁月厭在戌月殺在丑月德在丙月合在辛月空在壬丙辛壬上宜修造取土是月也.) 또한 절기의 변화를 알 수 있는 72후의 내용이 표기되어 있으며, 태양의 위치를 설명하고 있다. 72후는 윤달을 제외한 월별로 6후씩 배정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월 東風解凍(동풍이 언 것을 푼다), 蟄蟲始振(겨울잠을 자던 벌레가 비로소 움직인다), 魚陟負氷(고기는 떠서 얼음을 등에 진다), 獺祭魚(수달이 고기로 제사를 지낸다), 候雁北(기러기가 북쪽에서 온다), 草木萌動(초목의 싹이 움직인다)
2월 桃始華(복숭아꽃이 처음 핀다), 倉庚鳴(꾀꼬리가 운다),鷹化爲鳩(매가 변하여 뻐꾹새가 된다), 玄鳥至(제비가 온다), 雷乃發聲(천둥이 마침내 소리를 낸다), 始電(비로소 번개가 친다)
3월 桐始華(오동꽃이 처음 핀다), 田鼠化爲 (들쥐가 변하여 메추리가 된다), 虹始見(무지개가 처음 나타난다), 萍始生(부평이 비로소 생긴다), 鳴鳩拂其羽(우는 비둘기는 그 날개를 떨친다), 戴勝降于桑(후투티가 뽕나무에 내린다)
4월 鳴(청개구리가 운다), 蚓出(지렁이가 나온다), 王瓜生(왕과가 난다), 苦菜秀(씀바귀가 이삭이 나온다), 靡草死(냉이 잎이 마른다), 麥秋至(보릿가을이 된다)
5월 生(버마제비가 나온다), 始鳴(때까치가 비로소 운다), 反舌無聲(개똥지빠귀가 소리를 내지 않는다), 鹿角解(사슴의 뿔이 빠진다), 始鳴(매미가 비로소 운다), 半夏生(반하가 난다)
6월 溫風至(따스운 바람이 불어온다), 居壁(귀뚜라미가 벽에서 산다), 鷹始摯(매가 비로소 새를 챈다), 腐草爲螢(썩은 풀이 반딧불이 된다), 土潤 署(흙이 축축해지고 무더워진다), 大雨時行(큰비가 때때로 내린다)
7월 凉風至(서늘한 바람이 분다), 白露降(흰이슬이 내린다), 寒蟬鳴(매미가 운다), 鷹乃祭鳥(매가 새로 제사지낸다), 天地始肅(천지가 비로소 숙연해진다), 禾乃登(벼가 익는다)
8월 鴻雁來(기러기들이 온다), 玄鳥歸(제비가 돌아간다), 群鳥養羞(새들이 먹이를 갈무리한다), 雷始收聲(천둥이 비로소 소리를 거둔다), 蟄蟲 戶(겨울잠을 자려는 벌레들이 굴 문을 좁힌다), 水始 (물이 비로소 마른다)
9월 鴻雁來賓(기러기가 손님으로 온다), 雀入大水爲蛤(참새가 큰물로 들어가 조개가 된다), 菊有黃華(국화는 노란 꽃이 된다), 豺乃祭獸(승냥이는 짐승을 잡아서 제사지낸다), 草木黃落(초목의 잎사귀가 누렇게 되어 떨어진다), 蟄蟲咸俯(칩충이 모두 숨는다)
10월 水始氷(물이 처음으로 언다), 地始凍(땅이 얼기 시작한다), 雉入大水爲蜃(꿩이 큰물에 들어가 조개가 된다), 虹藏不見(무지개는 숨어서 보이지 않는다), 天氣上升地氣下降(하늘의 기는 위로 올라가고 땅의 기는 아래로 내려온다), 閉塞而成冬(폐색하여 겨울을 이룬다)
11월 不鳴(할단이 울지 않는다), 虎始交(범이 비로소 교미한다), 挺出(여정이 삭이 튼다), 蚓結(지렁이가 땅 속에 칩거한다), 角解(사슴은 뿔이 빠진다), 水泉動(샘물이 솟아 움직인다)
12월 北鄕(기러기가 북쪽으로 향한다), 鵲始巢(까치가 비로소 집을 짓는다), 雉 (꿩이 운다), 乳(닭이 알을 깐다), 征鳥 疾(정조는 사납고 빠르다), 水澤腹堅(수택은 단단하게 언다)
㉰ 부분은 九星圖(一百, 二黑, 三碧, 四綠, 五黃, 六 白, 七赤, 八白, 九紫)로서 월의 길흉을 살필 수 있는 월백(月白)을 나타낸 것이다. 월백의 구성도는 9개월 주기로 순환하므로 정월의 월백이 10월에 그대로 반복되는 것이다.
㉱ 부분은 해당날짜에 합삭(合朔), 상현(上弦), 망(望), 하현(下弦)이 시각과 함께 적혀 있고, 한식(寒食), 사일(社日), 삼복(三伏), 납일(臘日) 등이 표시 되어 있다.
㉲ 부분은 날짜, 일진(日辰), 일간지, 납음(納音), 12직(十二直), 28수(二十八宿), 그날 그날해서 좋은 일[宜]과 좋지않은 일[不宜], 24절기, 태양의 출입(出入) 시각, 낮밤의 길이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12직(十二直)
건제십이신(建除十二神)이라고도 하며, 십이직의 이름은 건(建),제(除),만(滿),평(平),정(定),집(執),파(破),위(危),성(成),수(收),개(開),폐(閉)이다.
28수(二十八宿)
천구(天球)를 황도(黃道)에 따라 28등분한 구획한 별자리를 말함. 동쪽에는 각(角) 항(亢) 저( ) 방(房) 심(心) 미(尾) 기(箕), 북쪽에는 두(斗) 우(牛) 여(女) 허(虛) 위(危) 실(室) 벽(壁), 서쪽에는 규(奎) 누(婁) 위(胃) 묘(昴) 필(畢) 자( ) 삼(參), 남쪽에는 정(井) 귀(鬼) 유(柳) 성(星) 장(張) 익(翼) 진(軫)이 있다.
그림4) 1830년 부록
㉮ 순산을 위한 산실 집안 청소 장막의 설치에 마땅하지 않은 방위[日遊神所在之方不宜安産室掃舍宇設牀帳], 침과 뜸질[針灸]에 좋지 않은 날[逐日人神小才不宜針灸], 혼인 때 맞이하고 왕래할 때 좋지 않은 방위[太白逐日遊方不宜迎婚嫁 往來抵向], 시장에서의 교역 옷의 마름질 재물을 들이기에 좋지 않은 날[長短星日不宜市務交易裁衣納財], 백기일(百忌日), 머리감기에 좋은 날[洗頭日], 약을 복용하기에 좋지않은 날[遊禍日不宜服藥], 지붕 덮기에 좋지 않은 날[天火日不宜 盖]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 오성수택(五姓修宅)
오성수택은 주택에 사는 주인의 성(姓)을 그 음(音)에 따라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의 오음으로 나누고 다시 이 오음을 오행에 배당한 후에 주택 주인의 성(姓)과 그 해의 세차의 지지오행(地支五行)을 서로 상생과 상극의 관계에 의해 설정한 것이다. 오성수택은 주택을 수리하기에 좋은 달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 가취주당도(嫁娶周堂圖)
결혼일에 관한 길흉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역서의 끝에 작게 실려 있다. 주당도란 주택의 주위의 8방위에 각종의 신이 배치된 그림이란 뜻으로 신의 배치에 따라서 나날의 길흉을 점치는 데에 이용된다. 이때 나날의 날짜는 음력날짜를 쓴다.
부엌주 廚 |
지아비부 夫 (南) |
할미고 姑 |
지어미부 婦 (東) |
|
마루당 堂 (西) |
부뚜막조 |
집제 第 (北) |
할아비옹 翁 |
각 방위의 궁명(宮名)은 주택구조를 감안하여 두었는데 택제(宅第), 즉 안방은 정북에 자리 잡아서 남향하여 햇빛을 받게 하고, 남편방은 안방의 맞은쪽에 두었다. 대청마루인 당(堂)은 正西에서 집터의 중앙을 향하게 하였으며, 그의 북쪽인 북서간방을 시아버님의 방, 남서간방을 시어머님의 방으로 정하였다. 즉 시부모는 이 대청마루의 양쪽에 거주한다. 주부인 婦는 正東에 자리잡아 그 좌측인 남동방향에는 부엌, 우측인 북동방향에는 찬장이 놓여 있어 취사작업이 편하도록 꾸며졌다. 결혼일의 길흉을 알기 위하여, 큰 달에는 부(夫)를 음력초하루로 하고 남서북동의 순서로 결혼날짜까지 夫, 姑, 堂, 翁, 第, 婦, 廚로 세어나간다. 이와같이 시계바늘이 도는 방향을 순행이라 한다. 또 작은 달에는 부(婦)를 초하루로 하여 조, 제, 옹, 당, 고, 부, 주의 순서로 역행하여 결혼날짜까지 세어나간다. 그 결과 결혼날이 婦, 夫, 翁, 姑 즉 인물에서 만나면 흉하다고 하고, 堂, 第, 廚에 만나면 길하다는 미신이다. 만일 翁과 姑에 닿았을 때 늙은 아버님과 늙은 어머님이 이미 별세하고 살아 있지 않으면 아버님과 늙은 어머님이 이미 별세하고 살아있지 않으면 길하다는 특례도 있다. 만일 음력 제7일이 결혼날짜라고 하고, 이 달이 큰 달이면, 부, 고, 제의 순서로 세어나가서 제 7일의 婦로 끝났다. 이때 婦는 인물이므로 흉하다고 보니 결혼날로 정하는 것이 안좋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달이 작은 달이면 婦로 시작하여 조, 제, 옹, 당의 순서로 역행하여 제7일째는 夫로 인물이므로 흉하여 결혼날로 정하는 것이 안좋다는 것이다.
㉱ 경인년(庚寅年) 시헌서 간행에 간여한 수술관(修述官) 이창운(李昌運)과 감인관(監印官) 김 석(金 晳)을 포함하여 14명의 명단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