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274/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12,630 1540년 2월 1일
1539년 12월 24일
정해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18집 366면]
12,629 1540년 2월 1일
1539년 12월 24일
정해 오경(五更). 달과 심후성(心後星)이 서로 침범하여 달이 별을 가렸다. [조선실록 [원전] 18집 366면]
12,628 1540년 2월 2일
1539년 12월 25일
무자 밤. 서쪽 하늘가에서부터 천원성(天苑星)까지 7∼8척 가량의 검은 운기가 하늘에 펴져 있었다. [조선실록 [원전] 18집 367면]
12,627 1540년 2월 3일
1539년 12월 26일
기축 전라도 화순(和順)에서 해뜰 무렵에 베 반필 길이의 광선이 희미하게 무지개 빛과 서로 엉겨 움직이는데 백색이었다가 흑색으로, 청색이었다가 자색으로 그 빛깔을 바꾸고, 나가기도 하고 물러가기도 하며 번복(飜覆)하고 회한(回還)하는 것이 마치 연자 방아를 찧는 모양과 같았는데 일식경(一食頃)쯤 있다가 그쳤다. 해의 남북 양쪽에 해 모양과 같은 무지개가 생겼는데 조금 작고 희미한 백색으로 그 형상을 확실히 볼 수가 없었다. 진시(辰時)에 이르러 북쪽의 무지개가 해를 꿰었고 또 서쪽에는 두 곳에 무지개 모양이 나타났는데 긴 것도 있고 짧은 것도 있었다. 안쪽은 자황색(紫黃色)이었고 바깥은 청흑색(靑黑色)으로 진시 말경에 이르러 없어졌다. [조선실록 [원전] 18집 367면]
12,626 1540년 2월 3일
1539년 12월 26일
기축 전라도 화순(和順)에서 해뜰 무렵에 베 반필 길이의 광선이 희미하게 무지개 빛과 서로 엉겨 움직이는데 백색이었다가 흑색으로, 청색이었다가 자색으로 그 빛깔을 바꾸고, 나가기도 하고 물러가기도 하며 번복(飜覆)하고 회한(回還)하는 것이 마치 연자 방아를 찧는 모양과 같았는데 일식경(一食頃)쯤 있다가 그쳤다. 해의 남북 양쪽에 해 모양과 같은 무지개가 생겼는데 조금 작고 희미한 백색으로 그 형상을 확실히 볼 수가 없었다. 진시(辰時)에 이르러 북쪽의 무지개가 해를 꿰었고 또 서쪽에는 두 곳에 무지개 모양이 나타났는데 긴 것도 있고 짧은 것도 있었다. 안쪽은 자황색(紫黃色)이었고 바깥은 청흑색(靑黑色)으로 진시 말경에 이르러 없어졌다. [조선실록 [원전] 18집 367면]
12,625 1540년 1월 3일
1539년 11월 25일
무오 햇무리가 지고 양이가 있었다. [조선실록 [원전] 18집 363면]
12,624 1540년 1월 4일
1539년 11월 26일
기미 햇무리가 지고 양이가 있었다. [조선실록 [원전] 18집 363면]
12,623 1540년 12월 10일
1540년 11월 13일
경자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18집 426면]
12,622 1540년 12월 25일
1540년 11월 28일
을묘 햇무리가 지고 양이가 있다. [조선실록 [원전] 18집 428면]
12,621 1540년 11월 1일
1540년 10월 3일
신유 햇무리가 졌다. 대간이 전의 일을 아뢰었으나 모두 윤허하지 않았다. [조선실록 [원전] 18집 414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