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228/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13,090 1546년 7월 14일
1546년 6월 17일
임인 초혼(初昏)에 건방(乾方)에 운기(雲氣)가 있었는데 무지개처럼 굽었고 길이는 베[布] 1필쯤 되었으며 안쪽은 푸르고 바깥쪽은 노랬다. [조선실록 [원전] 19집 425면]
13,089 1546년 7월 19일
1546년 6월 22일
정미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19집 427면]
13,088 1546년 7월 22일
1546년 6월 25일
경술 밤에 달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19집 428면]
13,087 1546년 7월 26일
1546년 6월 29일
갑인 밤에 유성(流星)이 관색성(貫索星)에서 나와 동함성(東咸星)으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주먹과 같고 꼬리 길이는 8∼9척쯤 되었으며 붉은 빚깔이었다. [조선실록 [원전] 19집 428면]
13,086 1546년 6월 1일
1546년 5월 4일
기미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19집 416면]
13,085 1546년 6월 3일
1546년 5월 6일
신유 신시(申時)에 서울에 우박이 내렸다. 밤에 손방(巽方)【동남방.】과 건방(乾方)【서북방.】에 불같은 운기(雲氣)가 있었다. 경기 이천(利川)·고양(高陽)·안성(安城)·가평(加平)·음죽(陰竹)·죽산(竹山)·장단(長湍)·양주(楊州)와 황해도 강음(江陰)·우봉(牛峯)에 우박이 내렸다. 큰 것은 새알만했고 작은 것은 개암만했으며 어떤 것은 콩만했다. [조선실록 [원전] 19집 416면]
13,084 1546년 6월 5일
1546년 5월 8일
계해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19집 416면]
13,083 1546년 6월 6일
1546년 5월 9일
갑자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19집 416면]
13,082 1546년 6월 8일
1546년 5월 11일
병인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19집 417면]
13,081 1546년 5월 2일
1546년 4월 3일
기축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19집 406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