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122/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14,150 1554년 3월 2일
1554년 1월 29일
경오 햇무리가 희미하게 지고 양이(兩珥)가 있었는데, 황색이었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182면]
14,149 1553년 4월 13일
1553년 윤3월 1일
정미 천문(天文)이 재변을 보여 북방의 일변(日變)이 경악스럽고, 지도(地道)가 안정을 잃어 남쪽의 지진(地震)이 더욱 놀랍다. 안개도 아니고 먼지도 아닌 황기(黃氣)가 밤낮으로 자욱하고 눈도 내리지 않고 비도 내리지 않아 토맥(土脈)이 겨울과 봄 동안 말랐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123면]
14,148 1553년 4월 16일
1553년 윤3월 4일
경술 묘시에 해가 적색이었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124면]
14,147 1553년 4월 18일
1553년 윤3월 6일
임자 햇무리가 지고 양이(兩珥)가 있었는데 안은 황색이고 밖은 백색이었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124면]
14,146 1553년 4월 26일
1553년 윤3월 14일
경신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127면]
14,145 1553년 4월 28일
1553년 윤3월 16일
임술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127면]
14,144 1553년 4월 30일
1553년 윤3월 18일
갑자 “해는 뭇 양(陽)의 종주(宗主)로 임금의 형상입니다. 그런데 근래 전고에 없던 일변(日變)이 생겨 처음에는 청흑(靑黑)의 기운이 화전(火箭)처럼 빠르게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서 사방으로 퍼져 분산되었는데 그 기운이 간 곳에서 쟁반이나 큰 거울 혹은 대접만한 덩어리를 이루고는 한참 있다가 없어졌습니다. 이달 8일에도 이와 같은 변이 있었으니, 이는 다만 음산한 기운이 하늘을 덮고 개지 않아서일 뿐만 아니라 청흑의 기운이 서로 섞여 생긴 변고입니다. 소신은 경상의 서열에 있는 몸으로서 밤낮으로 근심하고 두려워하나 어찌할 바를 알 수 없으니 위망의 화가 조석에 임박한 것같아 항상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127면]
14,143 1553년 5월 1일
1553년 윤3월 19일
을축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128면]
14,142 1553년 5월 2일
1553년 윤3월 20일
병인 밤에 달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128면]
14,141 1553년 5월 3일
1553년 윤3월 21일
정묘 햇무리가 희미하게 졌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128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