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108/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14,290 1554년 8월 7일
1554년 7월 10일
무신 밤에 손방(巽方)이 화기(火氣) 같았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215면]
14,289 1554년 8월 19일
1554년 7월 22일
경신 햇무리가 희미하게 졌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220면]
14,288 1554년 8월 19일
1554년 7월 22일
경신 밤에 비성(飛星)이 허성(虛星)에서 나와 북극성으로 들어 갔는데, 모양은 주먹과 같고 꼬리의 길이는 2∼3척쯤 되었으며 백색이었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220면]
14,287 1554년 8월 21일
1554년 7월 24일
임술 햇무리가 희미하게 졌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220면]
14,286 1554년 8월 23일
1554년 7월 26일
갑자 햇무리가 졌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222면]
14,285 1554년 6월 30일
1554년 6월 1일
경오 혜성이 북두의 괴성(魁星) 앞 문창성(文昌星)의 뒤 장성(張星)의 2도쯤에 나타났는데 백색이었고 꼬리의 길이는 3∼4촌쯤 되었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203면]
14,284 1554년 7월 1일
1554년 6월 2일
신미 6월 신미(2)에 목성[歲星]이 좌집법(左執法)을 4 일 동안 범하였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6, 286면]
14,283 1554년 7월 1일
1554년 6월 2일
신미 전교하였다. “성변(星變)이 처음에는 객성(客星)인 줄 알았는데 이제 보니 이는 분명히 혜성이다.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그러니 피전 감선해야겠다.” 밤에 혜성이 보였는데 꼬리의 길이는 1척 4∼5촌쯤이고 백색이었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203면]
14,282 1554년 7월 1일
1554년 6월 2일
신미 6월 신미일(2)에 세성(歲星)이 좌집법(左執法)을 범하였다. [연려실기술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104면]
14,281 1554년 7월 4일
1554년 6월 5일
갑술 밤에 목성이 태미원 좌집법을 범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20집 205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