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25
안녕하세요, 저는 갈릴레이의 관측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대학교 1학년 학생입니다.
질문이 있는데 도저히 제가 해결을 할 수 없는 것 같아 한국천문연구원에 글을 올립니다...
갈릴레이가 목성의 위성에 대해 관측한 것을 직접 서술한 내용을 보시면,
「올해, 즉 1610년 1월의 일곱 번째 날, 그날 밤 처음 한 시간동안 망원경을 통해 하늘의 별자리를 관찰했을 때 목성이 내 눈에 들어왔다. 목성의 근처에서 3개의 작지만 매우 밝은 별들이 관찰되었다. 나는 이 별들을 항성의 일부라고 생각하였지만, 그들이 황도와 평행한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다른 별들과 크기는 같지만 더 밝게 빛난다는 점이 다소 의아스러웠다.」
라고 서술을 하였는데요,
황도와 평행한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다른 별들과 크기는 같지만 더 밝게 빛난다는 점이 왜 이 별들을 항성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도록 하는 특징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태양계 행성들의 공전궤도면은 황도, 즉 지구의 공전궤도면과 매우 나란하기 때문에 행성들은 황도 근처에서만 관측된다는 것이 이것과 연관이 있는 것인가요? 갈릴레이가 관측한 3개의 별이 황도와 평행한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다는 것은 이 세 개의 별이 행성 또는 행성 주위의 천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주기 때문에 갈릴레오는 이를 항성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었던 것인가요?
대답하기 난감한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여기에 글을 남기는 것 말고는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없을 것 같아 글을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갈릴레이의 관측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대학교 1학년 학생입니다.
질문이 있는데 도저히 제가 해결을 할 수 없는 것 같아 한국천문연구원에 글을 올립니다...
갈릴레이가 목성의 위성에 대해 관측한 것을 직접 서술한 내용을 보시면,
「올해, 즉 1610년 1월의 일곱 번째 날, 그날 밤 처음 한 시간동안 망원경을 통해 하늘의 별자리를 관찰했을 때 목성이 내 눈에 들어왔다. 목성의 근처에서 3개의 작지만 매우 밝은 별들이 관찰되었다. 나는 이 별들을 항성의 일부라고 생각하였지만, 그들이 황도와 평행한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다른 별들과 크기는 같지만 더 밝게 빛난다는 점이 다소 의아스러웠다.」
라고 서술을 하였는데요,
황도와 평행한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다른 별들과 크기는 같지만 더 밝게 빛난다는 점이 왜 이 별들을 항성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도록 하는 특징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태양계 행성들의 공전궤도면은 황도, 즉 지구의 공전궤도면과 매우 나란하기 때문에 행성들은 황도 근처에서만 관측된다는 것이 이것과 연관이 있는 것인가요? 갈릴레이가 관측한 3개의 별이 황도와 평행한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다는 것은 이 세 개의 별이 행성 또는 행성 주위의 천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주기 때문에 갈릴레오는 이를 항성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었던 것인가요?
대답하기 난감한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여기에 글을 남기는 것 말고는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없을 것 같아 글을 올립니다.
감사합니다.